728x90
반응형

Protocol 3

TCP/IP 계층 개념과 OSI7계층 비교

✅ TCP/IP TCP/IP는 패킷 통신 방식의 인터넷 프로토콜인 IP (인터넷 프로토콜)와 전송 조절 프로토콜인 TCP (전송 제어 프로토콜)로 이루어져 있다. IP는 패킷 전달 여부를 보증하지 않고, 패킷을 보낸 순서와 받는 순서가 다를 수 있다.(unreliable datagram service) TCP는 IP 위에서 동작하는 프로토콜로, 데이터의 전달을 보증하고 보낸 순서대로 받게 해준다. HTTP, FTP, SMTP 등 TCP를 기반으로 한 많은 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들이 IP 위에서 동작하기 때문에, 묶어서 TCP/IP로 부르기도 한다. 출처: 나무위키 ✅ TCP/IP의 계층 Application Layer(응용계층)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 끼리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..

Computer Science 2023.01.03

네트워크 라우터 개념(Router)

✅ 라우터(Router) 라우터는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여 그 위치에 대한 최적의 경로를 지정하며, 이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로 전향시키는 장치이다. 이때 최적의 경로는 일반적으로 가장 빠르게 통신이 가능한 경로이다. 가장 빠르게 통신이 가능한 경로라는 것이 최단 거리 일 수도 있지만, 돌아가는 경로라도 고속의 전송로를 통하여 전달이 되는 경로가 될 수도 있다. 즉, 라우터(Router)는 네트워크와 네트워크 간의 경로(Route)를 설정하고 가장 빠른 길로 트래픽을 이끌어주는 네트워크 장비이다. 라우터는 다른 기종간의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프로토콜에서 전송되는 패킷을 받아들일 수 있어야 한다. 이렇게 받아들인 패킷을 여러 경로 중 가장 효율적인 경로를 선택하여 ..

Computer Science 2023.01.03

프로토콜(Protocol)의 개념, 요소, 특징, 계층 구성

프로토콜(Protocol)이란? 프로토콜은 서로 다른 시스템 및 기기 간 데이터 교환을 원활히 하기 위한 표준화된 통신규약이다. 기기 간 통신은 교환되는 데이터 형식에 대해 상호 협의를 요구하기 때문에 프로토콜이 필요한 것이며, 공통의 데이터 교환 방법이나 순서에 대해 정의한 약속, 규칙 체계를 의미한다. 따라서 동일한 프로토콜을 사용하면 기종 및 프로그램이 다르더라도 컴퓨터간 상호 통신이 가능하다. 따라서 정보 통신을 하기 위해 표준 프로토콜을 채택하여 통신망을 구축해야 한다. -> 각각의 프로그램, DB, 파일 서비스 등을 가지고 있는 컴퓨터 네트워크가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 지켜야 하는 약속을 공식화 한 것 예) 손님이 주문을 받는 사람에게 외계어로 주문을 할 수 없다. 주문을 하기 위해 지켜야 ..

Computer Science 2022.12.29
728x90
반응형